기타등등/世上萬思

호주의 선진교통문화를 대한민국에 되살려

오체투지해무 2020. 11. 27. 01:02

 

시드니 북쪽 윈저에서 싱글턴을 향해 가는 putty road에서 볼 수 있는 이륜차 안전계몽 안내판.

 

안내판의 높이는 세로 1.5미터, 가로 6미터 정도. 시속 100km에서도 한눈에 그 의미를 파악 할 수 있다.

 

먼저번에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면허시험 내용과 면허체계, 운전면허 종류의 조건 등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호주에서 바이크로 30,000km, 승용차로 10,000km 주행에서 겪은 그들의 교통문화에 대해서 직관적이고 극히 주관적인 시선으로 들여다 본다.

 

https://cafe.naver.com/motorcycletraveller/55818

이미지 썸네일 삭제

호주의 모터싸이클 교통문화 엿보기.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승용차와 바이크 주행거리 합산해 40.000km를 달리는 동안 주의를 주는 경적음을 단 한차례도 들어 본 적이 없다.

 

좌측통행을 순간 혼동해 회전교차로에서 한번, 주택가 주유소를 나오다 한번 역주행을 한 적이 있고, 회전교차로에서 우측에서 먼저 들어 온 차량을 보지 못하고 회전교차로에 들어 선 적이 있는데도 경적음을 단 한차례도 듣지 못했다.

 

물론 내가 살고 있던 곳이 시드니에서 1시간 정도 떨어진 인구 30만의 도시이기는 하지만 호주 9위 규모의 대도시. 러시아워 시간에는 이곳도 밀리는 것은 그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도시나 마찬가지.

 

교외에서 트럭에 엔듀로 바이크를 싣고 있는 모습을 보고 대~한민국의 리듬에 맞춰 경적을 울린적이 있다. 옆에 타고 있던 호주 현지 지인에게서 당장 제지를 받았다.

 

호주에서의 차량 경적은 위험을 알릴 때 외에는 폭력을 가하는 행위라는 것.

 

일상적으로 경적을 울리는 한국의 교통문화는 잘못된 것이라는 인식이 있으면서도 늘 그래 왔듯 길거리에 나가면 빵빵 거린다.

 

위험을 알리고자 경적을 울리기 보다는 자신의 조급함을 참지 못해 내는 짜증이고 분노의 표출이다.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어리버리하게 운전하는 김여사, 느린 걸음의 노인네, 녹색신호에도 불구하고 출발하지 않는 앞의 차.

 

생각해 볼일이다.

 

호주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에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교통안전에 대해 계몽활동을 펼친다.

 

도로에서 만나는 각종 교통표지판은 직관적이고, 상세하다. 따로 표지판에 대한 공부를 하지 않아도 운전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

 

반면 한국에서 일시에 전국적으로 신호등교차로에서 회전교차로로 변경되고도 기존 운전자들이 우선 순위를 안내 받거나, 교육을 받은 경우는 전무하다. 호주의 회전교차로는 처음에 공포의 대상이기도 했다.

 

 

4년 전 호주에 처음 입국 할 때 오페라하우스가 있는 나라, 매드맥스의 땅이라고 생각했다.

 

어떤 지형과 환경이기에 매드맥스와 같은, 어찌보면 황당한 영화가 3편 까지 제작되었을까 궁금했다.

 

기대와는 달리 내가 본 호주의 교통문화는 합리적이고, 맞어 이렇게 했어야 돼라고 하는 바로 그것이다.

 

도심이나 주택가에서는 50km, 학교 근처 통학시간에는 30km. 바이크도 승용차도 화물차도 규정속도를 딱딱 지킨다.

고속도로에서 과속하는 차량을 볼 수 없다. 정해진 규정속도를 넘기는 그 어떤 물체도 도로 위에 없다.

주말 관광지 차량이 밀리는 구간에서는 그렇다 치더라도, 뻥 뚫린 하이웨이나 프리웨이에서도 규정속도를 딱 지킨다.

 

호주의 과속카메라 구간 전방에는 반드시 카메라 있음을 알리는 예비표지판이 있다. 심지어 이동식 과속카메라 장치가 전방에 있음을 알리는 이동식 표지판도 반드시 설치하고 단속한다.

 

물론 언더커버폴리스가 숨어 있는 곳도 있지만 극히 보기 드물다.

 

한눈에 봐도 지역 바이크 갱이었겠거니 한 무리들의 아메리칸도 규정속도. 한번은 뻥뚫린 프리웨이에서 레프리카가 앞서가고 있었는데 규정속도를 한번도 넘지 않았다.

 

아니, 그럴려면 뭐하러 고배기량 바이크를 타나 싶었다.

 

호주의 과속단속카메라는 앞뒤로 찍게 되어 있어 바이크도 번호판도 촬영된다.

 

호주의 범칙금은 쎄다.

한국에서 과속카메라에 단속되거나, 범칙금을 발부 받은 적은 단 한번도 없다.

 

호주의 한적한 마을을 지나다 규정속도에 10km가 초과되어 발부 받은 범칙금은 600달러. 그것도 번호판이 찍힌 것이 아니라 45도 측면에서 찍힌 모습을 보고 바이크를 추적 범칙금을 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외 국도에 길 한가운데 드리프트를 한 스키드 마크를 볼 수 있다.

고속도로 시선이 시작되서, 시선이 끝나는 곳 까지 윌리를 하고 가는 바이크를 보기도 했다.

한적한 교외도로에서 우연히 뒤를 쫒는 바이크 두대에게 길을 내어주고, 그 뒤를 시속 180km로 Nerriga에서 Oberon까지 한시간 가까이 추격전을 한 경험도 있다. 그렇게 달리다가도 마을에 들어서면 시속 50km 미만을 반드시 지킨다.

 

 

범칙금은 돈으로 해결이 되지만, 벌점은 사면이 안된다.

호주인들이 교통법규를 철저히 지키는데는 범칙금도 범칙금이지만, 벌점으로 인해 면허가 취소되면 드넓은 땅 위에서 행동의 저유를 박탈 당한다. 그래서 벌점을 무서워한다.

 

나는 왜 극히 개인적인 시각으로 본 호주의 교통문화에 대해 장황하게 설명하고 있는가. 언제 가 볼지도 모를 호주의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짧게 이야기 하자면 그곳에서의 운전이 한국에서의 운전 보다 편하니, 그들의 교통문화를 한국에서도 널리 퍼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개개인이 나선다고, 교차로 안전운전 프랙카드, 경찰이 불법 운행 동영상 채증한다고 선진교통문화가 될 일이 아니다.

 

교통안전에 대한 정책과 예산이 마련되어야 하고 지속적이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무엇을 위해?

우리의 불편한 교통현실을 개선하고,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사회가 되기 위해.